본문 바로가기
직업, 부업, 창업, 알바

응급구조사 연봉및 현실( 업무, 취업, 되는법)

by 미야쌤 2023. 9. 18.

 

 

 

 

응급현장에 가장 먼저 출동하는 응급구조사.

응급구조사는 환자에게 발생한 질병 또는 부상 등의 위급상황으로부터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현장 및 이송 중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사람을 일컬어요. 

 

응급구조사에 대한 포스팅을 준비했습니다.

 

응급구조사 연봉

 

 

 

 

연봉은 하위 3,400만원, 중위 4,100만원, 상위 5,100만원 입니다.

개인 경력, 역량, 전공분야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연차가 있을수록 연봉은 높아집니다.

 

응급구조사 업무

 

응급 환자가 있는 현장, 주로 의료기관이나 응급실, 그리고 이송 중 여러 응급처치, 상담, 구조, 이송 업무를 수행하는 직업입니다.

 

위급 상황에서 정말 신속하고 적절한 응급조치를 하는것은 매우 중요한데요. 상황을 더이상 악화시키지 않고 생명을 보호할수 있기에 정말 뜻깊은 일이라 할 수 있어요.

 

응급환자가 발생시 구급차를 이용해 현장으로 이동하는데요.

응급상황 현장에서 환자 상태를 진단하여 병원에 연락을 취한 후, 의사의 지시를 받아 현장에서 응급처치를 시행합니다. 

그리고 의료시설로 이송합니다.

 

의료기관 도착 후 진료의사에게 상황을 보고하고, 응급이송 업무 종료 시 사용했던 의료용품및 비품을 보충하는 일도 합니다. 구급차의 장비도 항상 점검하고, 무선장비를 매일 점검 해 통화가 가능한 상태로 유지해야 합니다.

 

 

 

응급구조사 되는법

 

 

 

 

응급구조사 1급자격을 취득 후, 의료기관에 취업할수 있습니다.

 

자격조건은

4년제 대학, 2~3년제 전문대학에 설치되어 있는 응급 구조학과의 졸업자 또는 졸업예정자이어야 시험 자격이 되고,

자격충족 후 응급구조사 1급 자격시험에 합격해야 합니다.

 

자격 취득 후에도 익년도부터 매년 4시간 이상의 보수교육을 이수해야 합니다.

 

응급구조사 현실

 

 

 

 

1. 취업

 

응급구조사는 취업은 잘되는 편입니다. 하지만 급여가 높지 않아요.

대학 졸업해서 초봉은 200부터이고 경력과 근무지에 따라 다르기지만 그리 높은 연봉은 아니라고 봅니다.

보통 소방 해경 혹은 보건분야. 병원에서도 응급실 이외 여러 분야로 채용이 됩니다. 

 

2. 소방분야로 빠지기 쉬운가?

 

빨리 소방분야로 빠지기 위해 구조사를 한다면 그건 옳지 않은것 같아요.

대부분이 소방분야로 가기 위해 구조사를 거치는데요. 

차라리 그 시간에 소방공채시험을 준비하시는편이 낫다고 봅니다.

 

평균 남자 기준 3년제와 4년제가 있는데요.

4년제의 경우는 4년과 군대 소용기간 2년을 합치면 총 6년에 경력 2년이 필요하니 총 8년 이라는 시간이 소요되는데

차라리 공채 준비하시는편이 더 낫다고 봅니다.

 

소방분야도 채용인원이 점점 줄고 있죠 게다가 전문성을 갖춘 간호사 유입량이 높아지는데 굳이 구조사를 채용할 필요는 없다고 보는것 같아요.

 

3. 간호 vs 응급

 

사실 간호과는 3등급만 되도 들어가기 힘들지만 응급 구조학과 평균 6등급, 8등급도 있더라고요.

만약 성적이 된다면 간호 분야를 더 추천드립니다. 

공부량과 실습량, 그런 부분에 있어 간호와 응급은 비교가 안된다고 봅니다.

 

급여부분도 비교가 안되죠. 간호사의 경우 4천만원 받는다면, 응급구조사는 2천만원 중, 후반, 조무사의 경우는 2천 초반.

왜 대부분 성적이 된다면 간호 분야로 빠지려고 하는지 알게 되는 덕목인것 같아요.

 

4. 응급구조사 얼마되지 않은 직업

 

응급구조사가 제대로 대우 받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릴것으로 전망합니다.

전망 분야로 보면 재해가 많아지기때문에 구조사의 수요는 있을꺼라 생각이 들지만

제대로 인정받고 대우 받기까지 직업의 역사는 정말 무시할수가 없습니다.

채용 인력도 간호사와 조무사에 비하면 정말 없다시피 하죠. 

게다가 어느정도 경력 채워 공직생활을 원하는 추세이지 잠시 스쳐 가는 직업이라는 이미지가 강한것 같아요.

 

여러 대학에서는 취업이 잘된다는 목적으로 많은 과가 개설되는 모양입니다.

취업은 잘되는 편이나 인정을 제대로 받지 못한다면 만족도는 떨어질것 이고

전문 분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될것이라는 개인적인 견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