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업, 부업, 창업, 알바

아나테이너가 목표인 이유 (아나운서 장단점과연봉)

by 미야쌤 2023. 7. 20.

 

 

아나테이너란 단어 들어보셨죠!!

아나운서 + 엔터테이너 의 합성어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MBC 전아나운서 김성주님이나 KBS 전 아나운서 전현무님을 가장 먼저 떠올리더라고요.

 

요즘 아나운서들은 연예인처럼 재능과 인기가 많아요. 최근에는 에세이 작가나, 트로트 가수, 대중음악 작사가 등에 도전해 좋은 성과를 거두는 아나테이너들의 소식도 흔히 접하곤 합니다.

 

처음에 전현무 아나운서가 입사했을때 모두 당황스러웠다고 하죠.

무언가 튀는 느낌 ;무언가 점쟎지 않은 저 느낌은 뭘까? 

다들 걱정이 많으셨다고 하는데요.

 

전현무 님은 특이함에 머물지 않고 지금은 그냥 하나의 컨텐츠로 활동하고 있죠.

지금 이 시대는 어떻게든 컨텐츠를 갖고 있어야 하고 자기 자신을 타인에게 각인시켜야 하는 세상이니까요.

 

전현무님을 예전 기억으로 떠올려보면

무언가 밉상이고,

무언가 잘난체 하고,

웃기려 노력했던 그런 사람이었는데요

 

지금은 노력하지 않아도 너무 웃기고,

지금은 훨씬 더 겸손해지시고 남을 돕고 살고, 

실제로 방송도 잘하지만 이 사회가 정말 원하는 상이 아닌가 싶어요.

그래서 이렇게 잘나가나 봅니다. 

 

실제로 아나운서 10명이 입사하면 50% 이상은 아나테이너가 목표라고 합니다.

수천대 1의 경쟁률을 뚫고 아나운서의 꿈을 키웠는데

왜 돌연 프리선언을 한느지는 차근차근 알아보도록 할께요.

 

아나테이너가 목표인 이유
경제적 욕망

 

각 방송사의 아나운서들은 다른 방송 프로그램이나 외부 행사에 참여할때 엄격한 규제를 받는다고 해요.

방송사의 연봉을 제외하고 아나운서들의 프로그램별 진행비는 1~2만원 이라고 하며, 라디오는 1만 4천원이라고 하더라고요. 프로그램을여러개 진행하는 아나운서라면 회당 출연료에 대한 욕망을 생각 안할 수 없죠.

 

실제로 프리 선언후 몇달만에 연봉을 벌었다는 사람들도 있지만, 성공한 사람은 전체의 5% 정도만 해당된다고 하니 

나만의 컨텐츠, 개성과 차별성을 갖고 있지 않다면 무조건 후회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자신의 끼를 펼치고 싶은 욕구

위에서 언급했듯이 아나운서들은 엄격한 규제를 받기 때문에 자신의 끼를 펼치기는 쉽지 않습니다.

더 많은 방송사,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동이 가능한 능력있는 아나운서들은 엔터테인먼트사의 유혹이 많은 편인데

그 유혹을 뿌리치기가 쉽지 않겠죠.

 

그러나 프리 선언 후 타방송에서는 신인과 마찬가지인 신세이죠.

게다가 공중파 3사가 공동협약을 맺은 족쇄(2년간 기용하지 않는다는 약속)로 인해 더욱 힘든 길이 예상됩니다.

 

김성주님은 프리 선언 후 MBC에서 출연 정지를 먹은바 있고 1년이상 활동을 쉴수밖에 없었다고 해요.

전현무님도 대상 수상소감으로 프리로 나와 웃기고 싶은 마음은 많았으나 능력이 부족해 욕도 많이 먹었고 이길이 아닌가 싶었던적도 많았다고 했을만큼 힘든 시간을 보냈음을 털어놓았죠.

도경완아나운서도 딱히 크게 활동하는것 없는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아나운서는 계속 공부를 해야하는 직업

많은 분야의 지식인을 만나 대화나눌 수 있고, 방송사 채널이 많기 때문에 다양한 체험을 할수 있지만 그런 지식인과 대화하기 위해서는 준전문가가 될정도로 노력하고 공부해야 합니다.

미리 공부해서 준비해야 대화가 되고, 그래야만 상대방의 마음의 문을 열수 있기 떄문이죠.

 

힘들게 아나운서가 되었지만 엄격한 규제와 끝없는 공부를 해야하지만 연봉은 크게 높지 않아요.

그래서 프리선언을 많이 하는것이 아닌가 싶어요.

 

북한의 아나테이너

다재다능한 아나테이너들의 활약은 비단 우리만이 아니라고 해요.

북한 방송가에서도 크고 작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예전과 달리 요즘 북한 아나운서들이 직접 발품을 팔아 현장 소식을 전하는 방식으로 진행을 한다고 하죠.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방송가의 형식주의 방식을 근절하고 새로운 선전 선동 방식과, 최신 기법을 받아들일것을 권고했기 때문입니다. 

 

  • 온천이나 승마장에 나가 현장감 있는 소식을 전하고, 요리를 직접 하는 모습
  • 손수 약통을 들고나와 약 효능과 사용방법을 세세히 알려주기
  • 끼와 재능을 발휘해 현장소식 실감나게 담아내기
아나운서 연봉

공채로 입사하면 4직급이라고 해요. 초봉은 4,000만원 정도되고, 직급이 올라갈때마다 15,~20%씩 연봉이 상승합니다.

 

수당도 있는데 뉴스 앵커의 경우는 한회당 3~4만원의 수당이 붙는다고 하고요.

 

프로그램별 진행비는 1~2만원, 라디오 진행비는 1만4천원 입니다.

 

13년차 아나운서의 연봉은 8,500만원 정도이고, 15년 이상인 2직급 이상은 1억원가까이 되는 연봉을 받아요.

 

아나운서 장단점
장점

많은 지식인들을 만나 대화 

 

회사의 프로세스 안에서 폭넓은 시야로 다양한 지식인 들을 만나 대화나눌수 있고 공감하며 배울수 있습니다.

 

안정성

 

아나운서는 정규직. 물론 기상캐스터와 같이 계약직도 존재하지만 아나운서는 대체로 정규직이라고 합니다.

입사 후 안정적인 연봉과 퇴근 후의 자유시간이 보장되는 안정성은 아나운서들의 장점입니다.

 

소속감

 

회사의 성장과 함께 나도 함꼐 성장할 수 있어요.

 

단점

회사의 엄격한 규제

 

아나운서들은 회사의 엄격한 규제를 받기떄문에 끼를 마음껏 펼치지 못하고, 아나운서의 품위를 유지해야 합니다.

 

항상 긴장해야 하는 일의 특성

 

아나운서들은 연예인과 같이 TV에 나오는 직업이기때문에 실수는 방송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요.

그렇기 떄문에 늘 긴장해있고, 불안도가 높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