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업, 부업, 창업, 알바

간호조무사 현실, 연봉, 장점

by 미야쌤 2023. 7. 21.

간호조무사란?

 

 

고등학교 이상 학력자가 1,520시간의 간호 조무사 교육을 이수후, 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에서 시행하는 간호 조무사 국가시험에 합격 한 후 보건복지부 장관의 자격을 인정받은자는 간호조무사로 근무를 할수 있어요.

 

간호조무사는 의사나 간호사처럼 의료관련 면허가 아니고 단지 자격이라는것을 유의하셔야 합니다.

간호조무사는 간호사나 의사의 지도하에 간호사의 업무를 보조하는 업무를 수행합니다.

 

구분 간호조무사 간호사
지위 의료인 X
보건의료인 O
의료인 O
보건의료인 O
 자격요건 일정기관에서 교육이수 후
국가고시 합격 
4년제 간호대학 졸업 후
국가고시 합격
자격 / 면허 간호조무사 자격증 간호사 면허증
업무 의사 또는 간호사의 감독아래 환자를
간호, 진료와 관련된 보조 업무를 수행함.
의사의 진료를 돕고, 의사의 처방이나 규정된 간호기술에 따라 치료를 행함.

의사 부재시 비상조치

환자상태 점검, 기록, 치료

질병예방교육

간호 조무사 현실

 

 

간호사와 간호조무사의 가장 큰 차이점은 자격에 있습니다.

간호사는 4년제 간호대학을 졸업한 전문 지식을 보유하여 의료 면허증을 보유하였지만

간호 조무사는 일정 교육을 이수 하여 자격증을 취득한 의료 업무를 할수 있는 자격만 보유하고 있는거죠.

 

사실 간호대학은 정말 경쟁이 치열하죠. 비단 간호대학뿐 아니라 보건, 의료쪽은 정말 공부를 열심히 하지 않으면 들어갈 수 없는 곳입니다.

그러니 간호사와 조무사와의 차이는 분명 당연한 셈인거죠.

 

간호조무사는 현실적으로 엄청 고된 직업중 하나라고 합니다. 

자격증 취들을 위해서 실습시간을 채워야 하는데요. 무보수로 하루종일 근무를 해야 하고, 그곳에서 온간 부당한 대우를 받는 사람들도 흔하게 있습니다.

 

여자의 적은 여자라고 했던가요?

간호조무사의 업무도 힘든데, 간호조무사끼리 경쟁을 해야 한다고 해요.

근무환경이 좋지 않으니 갈등의 골은 점점 깊어지며

 

오래 근무를 하여도 신입과 연봉이 별반 차이가 나지 않는다고 해요.

곧. 경력이 있어도 연봉에는 상한선이 정해져 있는 직업이라는 예기입니다.

 

직업의 선택에 있어서 조금 더 신중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또한 토요일에도 근무를 해야하고, 일요일에도 근무를 해야하는 병원도 있습니다.

급여는 최저시급 수준이고, 급여 인상폯이 매우 적으며 위에서 언급한것처럼 상한선이 있습니다.

 

간호조무사간 텃새가 심하기로 유명한 직업이고. 

워낙 여자들이 많은 곳은 여자들끼리의 경쟁도 치열하고, 텃새가 심하다고 하죠.

 

또한 사회적으로 인식또한 좋지 않아요. 간호 조무사라고 하면, 간호사 밑에서 심부름 하는 사람

정도로만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죠.

 

손님을 상대하는 서비스직이다 보니 손님으로부터의 스트레스도 한몫한다고 합니다.

게다가 손님이 많은 병원이라면 그 스트레스는 더 하겠죠?

 

간호조무사와 간호사 연봉

(2021년, 워크넷)

 

 

구분 간호조무사 간호사
연봉 하위 (25%) 2,383만원
중위 (50%) 2,590만원
상위 (25%) 2,901만원
하위 (25%) 3,154만원
중위 (50%) 3,665만원
상위 (25%) 4,000만원

 

 

간호조무사 장점

 

 

간호조무사, 여성분들이 가장 많이 취득하는 자격증 중 하나입니다.

이유는 무엇일까요?

 

진입장벽이 낮기때문에 취업이 잘되기 때문이죠.

요양원, 개인병원등 간호조무사 채용을 원하는 곳은 참 많아요.

워낙 급여도 낮고 업무 강도가 세다보니 취업후에 버티는 분들이 많지 않은것이 문제입니다.

게다가 텃새까지 심하고, 간호사들과의 차별이 부당하다고 까지 느낀다면

장기 근무하는것이 쉬워보이진 않아요.

 

그러나 효율적이지 않은 잡다한 업무를 할 뿐이지, 업무 자체는 단순하다고 해요.

누구나 조금만 숙력되면 할수 있는 일이고, 손님들을 대하는 업무이다보니 비교적 단순한 업무를 장점으로 꼽을 수 있을것 같아요.

 

또한 의료 업무를 하는 사람으로서 자긍심과 보람도 느낄수 있겠죠.

특히 어린 아이들이나, 나이든 어르신들의 손님이 만은 병원이라면 더욱 자긍심은 높아질수 있습니다.

 

직업만족도가 60% 이상인점을 보면 분명 직업에 대한 소명과 자긍심이 뛰어난 직업이란 생각이 듭니다.

 

인구 고령화로 인해 노인의 인구가 더욱 증가하면 의료 서비스의 수요도 당연 증가하게 됩니다. 

이런 상황에서 간호 조무사의 채용은 더욱 많아질꺼란 전망이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