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업, 부업, 창업, 알바

극지과학자 현실 연봉 (21세기 다산주니어 지원해 보세요 )

by 미야쌤 2023. 10. 13.

영화 인터스텔라나 마션을 재밌게 본 친구들이라면 미지의 세계를 탐구하며 열정을 쏟는것에 흥미를 느끼는 친구들이 있을꺼예요.

오늘은 북극을 모험하며 연구한는 극지과학자에 대한 포스팅을 준비했습니다.

 

극지과학자

 

현실성이 떨어지는 우주 말고, 지구에도 아직 사람들의 손이 닿지 않는 미개발 지역이 많이 남아있어요. 북극과 남극이죠.

바람이 불고, 눈이 오면 얼음 가득한 너무 추운곳. 그런데 이런곳을 연구하는 직업이 있습니다

바로 극지 과학자 입니다. 

남들은 일생에 한번도 가보기 힘든 극지를 수시로 드나들며 여행과 모험을 즐기는 직업 이랍니다.

 

리틀 극지과학자 프로그램 " 21세기 다산주니어 "

 

극지연구소에서 과학에 관심 있는 고등학생들에게 북극을 경험할 수 잇는 기회를 주는 21세기 다산주니어 라는 프로그램이 있어요. 여기에 선발되면 북극에서 실험해 볼 수 잇는 기회는 물론, 비용도 모두 지원 받을 수 있습니다.

 

1차 선발은 북극에서 하고 싶은 실험계획서고, 2차 선발은 어떤 식으로 실험할지 발표해서뽑아요.

매년 3월에 공고를 내고, 5월에 실험 계획서를 받으니 관심있는 학생들은 지원해보면 좋을것 같아요.

 

성적과는 전혀 상관이 없고, 연구하고 싶은 분야를 잘 정리해서 발표만 하면 됩니다. 실제 이 프로그램으로 진로를 바꾼 친구도 있어요. 실험은 어려운 것보다 실제 할 수 있는 실험, 미리 한 번 실험해 봤다면 더 좋아요. 심사위원이 북극에 가서 진짜 실험을 해볼 수 있겠구나 라고 생각할 테니까요.

 

극지연구소

 

극지연구소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연구소이기때문에, 외국에서 공부한 사람들도 많이 오고, 다른 기관과 공동으로 연구하는 경우도 많아요. 대학이나 대학원에서도 극지 연구를 하는 사람들이 있어요 대부분 극지연구소랑 연결되어 있습니다.

 

극지에 살고 있는 생물, 기후 등 땅과 하늘, 바다에서 할 수 있는 모든 연구를 극지연구소에서 합니다.

심지어 북극에 사는 사람, 법 등 인문사회과학과 법학도 모두 극지연구소의 연구 대상입니다. 

 

 

극지과학자 되는법

 

극지연구소에서는 해양학, 대기과학, 지구과학, 생물학 등의 연구를 많이 하니, 이런 분야의 전공을 하면 좋아요.

과학자는 전공과 연구 경력이 주된 평가 요소입니다. 

지금은 빅데이터 시대기떄문에 학과 공부 외 통계학이나 데이터를 다룰 수 있는 기본적인 프로그래밍 능력이 있으면 도움이 많이 됩니다.

 

과학과 실험을 좋아하는 사람들이라면 좋겠죠. 어느 분야나 마찬가지겠지만, 연구원은 논문을 많이 읽어야 하고, 외국 연구진들과 공동연구를 할때도 있어서 영어는 필수입니다.

 

전공은 생물학과, 해양학과, 대기과학과, 지구과학과, 환경 관련학과, 생물관련 공학등의 과를 전공하면 유리합니다.

 

극지과학자 연봉

 

박사 학위를 받은 연구원의 연봉은 5천만원~1억원 사이입니다.

극지에 나가게 되면 많지는 않지만 위험 수당도 나와요.

 

 

극지과학자 현실

 

<장점>

 

  • 휴가가는 기분으로 북극에 가서 일하는건은 꽤 즐겁습니다. 
  • 북극,남극은정말 아름다운 곳입니다.
  • 공기가 너무 깨끗해요.
  • 참고로 극지 연구를 하다보면 사업이 될 만한 아이디어가 생기기도 해서 창업하는 과학자들도 많아요.
  • 자연속에서 일한다는것 자체가 마음이 평안해지고 재미있는 일이 많아요.
  • 세종기지, 아라온호, 다산과학기지,, 장보고과학기지 등이 생겨서 연구가 수월해졌어요. 이전에는 다른나라 배를 타고 가서 연구하기도 하고, 연구 자료를 보관할 곳이 없어 장소를 구걸까지 해가면 어렵게연구를 했거든요.

 

<단점>

  • 여름에 가면 모기가 많아요. 바람이 불면 없는데 평소에는 떼로 몰려들어요. 다행히 말라리아나 지카 바이러스 같은건 없다고 해서 그냥 물립니다. 대신 가만히 있으면 많이 물리니, 밥을 먹을때도 걸어다닌다고 해요. 그정도로 모기가 많다고 해요.
  • 추운 곳에서 일해야 하니 불편함이 많아요. 
  • 용무를 보려면 대자연에 맡겨야 해서 아주 불편해요.
  • 연구는 가설을 세우고, 고민하고, 질문을 던지고, 또 고민하는 과정에서 증명해야되니 일의 반복이예요.
  • 생각대로 실험이 진행되지 않거나 예측이 안되면 스트레스가 많아요.
  • 초봉이 높지 않아요
  • 한번 나가면 3주~한달 동안 다양한 연구를 해요.
  • 북극곰이 사납기도 해서, 사격 자격증은 필수입니다.